1. 신규 필름
1. 크기/핀/인쇄도수/트랩/깨진서체및이미지/원고.
- 트랩(후두리)
그림과 그림의 만나는 경계
- 오버프린트(밑그림_더블)/녹아웃(밑그림빠짐_히로) 확인.
별색일 경우 일반적으로 녹아웃임.
- 칼사이즈와 종이사이즈 확인.
종이사이즈는 일반적으로 칼사이즈 기준으로 구와이+25mm/하리+20mm.
발주서의 종이사이즈와 실제 필름의 사이즈가 적절한지 확인.
- 인쇄도수 확인하여 원색4도가 아닐경우 인쇄기계(2색기계/4색기계) 배치 여부 결정.
5도 이상일 경우 4색과 2색기계에서의 선인쇄 결정
- 깨진 서체나 필름의 손상유무 확인.
- 원고 확인하여 인쇄기장에게 전달
2. 필름센터 및 구와이 간격 확인(일반적으로 15mm, 후가공에 따라 변동성 있음).
- 인쇄기/후가공에서 기계가 종이급지시 필요여분을 구와이 간격이라 함.
- 센터선이 없는 경우 일반적으로 좌우돔보의 중간지점을 선정.
- 박스의 형태에 따라 풀발이 부분 참조해야함.
- 구와이 기준선이 없을 경우 칼선대지 또는 목형으로 확인
- 통상 구와이 방향은 일반적으로 박스의 바닥.
3. 하리표시.
- 전면기준으로 왼쪽방향에 표시.
- 후가공시 인쇄물 구분 및 발생할 수 있는 실수에 대한 예방.
2. 기존 필름
* 일반적으로 거래처별로 발주하는 내용에 생략되어지는 부분은 아래의 내용을 참조
1. 거래처/제목/도수 확인하여 필름 검색.
- 제목이 일치하여도 도수 확인.
- 제목/도수 일치 할 경우 최종필름인지 확인.
- 구형필름이 폐기되지 않은 경우가 있음.
- 제목은 같지만 도수별로 필름이 있는 경우 있음.
2. 위1번으로 구분이 되지 않은 경우 필름의 칼사이즈와 종이 사이즈 비교.
- 꼭 거래처 담당자와 통화하여 필름의 내용을 보며 확인 요망.
3. 위2번으로 구분이 되지 않은 경우 샘플 비교.
- 박스랜드/로얄C&C
4. 샘플이 없을 경우 거래처 담당자와 통화.
- 선영포장/신흥포장/양우문화사/그린팩
5. 공산품 인쇄물 중 출고년월일이 바뀌는 필름은 항시 수정해야함.
- 권사장님/지영수출포장/대광사
6. 양우문화사의 경우 POWER/마크의 변경이 많으므로 꼭 통화/확인 후 소부.
- "POWER : AC 127/220V~, 50/60Hz"
- "POWER : AC 127V~, 50/60Hz"
- "POWER : AC 220V~, 50/60Hz"
- 127V,220V 뒤 "~(물결표시)" 빠지면 안됨.
3. 필름 수정
1. 칼로 긁어내기
- 긁어낼 곳을 쇠자 위치 잡은 후 고정하고 긁어 삭제.
- 익숙해지거나 자가 필요없는 곳은 쇠자 없이 칼로 삭제.
2. 쪽자 필름 붙이기
- 기존필름을 고정 후 기존필름위로 새 필름의 위치를 잡은 후 고정.
- 테이프로 고정 후 기존필름과 쪽자필름을 겹쳐 칼로 재단.
- 잘린 기존필름을 떼고 잘려진 쪽자필름을 테이프로 고정.
4. 소부
* 소부 타이밍
1. 일반필름의 소부는 20LUX.
2. 필름의 수정에 의한 테이프 자국을 지우기 위해서는 최소 40LUX.
3. 필름이 오래되어 훼손된 경우 60LUX.
4. 한일전기 설명서 60LUX.
5. 하리표시.
- 시리즈 또는 같은 종이사이즈를 사용하는 경우 하리표시 필수.
- 필름에 하리 표시 없을 경우 소부기 유리 위 돔보 기준으로 수정테이프 사용.
* 현상
1. 첫 현상 들어가기전 소부불량판으로 3번 이상 워밍업.
2. 일정시간이 흐른뒤 현상은 2번 이상의 워밍업.
3. 첫 현상 후 현상이 잘 되었는지 확인.
- 현상이 잘 되어지지 않았을 경우 현상액 보충/교환.
4. 고무액이 ps판 전체적으로 골고루 도포 되었는지 확인.
5. 세척물과 고무액은 1주일 단위로 교환.
6. 현상액은 보충하며 2주일 단위로 .교환
'인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TP시스템과 판재시장 (0) | 2012.01.30 |
---|---|
충무로 첨단 인쇄단지로 변신한다 (0) | 2010.12.27 |
인쇄 준비시간 단축과 비용절감 및 컬러 품질 향상 (0) | 2010.12.27 |
CTP인쇄와 CTF인쇄 비교 (0) | 2010.11.16 |
인쇄기 문제와 대책 (0) | 2010.10.26 |